일반인의 경우 식도와 위의 이행부에 있는 하부식도괄약근(LES)이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부식도괄약근(LES)의 작용이 손상되어 위산이나 위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어 있는 병태로서, 식도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일과성 LES압 이완(위가 신전되었을 때에 생기는 LES의 일시적인 이완)이라는 생리현상이 식도염의 발생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위식도역류에 수반하는 불쾌한 증상이나 신체소견을 나타내는 병태를 총칭하여 위식도역류질환(GERD)이라고 한다. 내시경검사에서 식도염이 확인되지 않는데도 증상이 있으면 비미란성 GERD(NERD)라고 한다.
증상
속 쓰림, 가슴 쓰림, 위산과다증, 흉통이 주증상으로 나타난다. 식도 외 증상으로는 기침, 목의 통증, 천식, 치아 침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으로는 구강 증상, 인두부 불편감, 호흡기 증상, 빈혈, 영양불량, 부비강염, 폐섬유증, 반복성중이염, 수면무호흡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악화인자
생활습관문제(흡연, 고지방식이, 식사 직후의 취침, 스트레스 등), 자극물(음주, 커피, 향신료 등), 약제(항고혈압제, 천식치료제 등), 복강내압의 상승(비만, 과식, 변비 등)이 증상을 악화시킨다.
진단
증상에 따른 진단으로, 위식도역류에 의한 증상이 일정 빈도 이상 확인된다면 증상만으로 진단을 할 수도 있다. 상부소화관조영제검사, 식도내시경검사, 24시간 보행성산도측정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약물 요법
위산분비억제제(프로톤펌프억제제, 히스타민 H2수용체길항제)를 충분량 투여하고, 그 후에 약을 줄이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단, 복용을 중지하면 즉시 증상을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지속적으로 투여를 하는 경우가 있다. 히스타민 H2수용체길항제는 장기간 사용하면 효과가 약해진다고 알려져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주요 부작용으로는 쇼크, 아나필락시스가 있다.
급성기에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점막보호제(알긴산나트륨 등)를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작용시간이 짧고 약효가 약하므로, 위산분비억제제와 병용하여 투약한다.
식도와 위 운동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화관운동기능개선제(가스모틴 등)를 병용하여 사용한다. 소화관운동기능개선제의 주요 부작용으로는 전격성간염, 간기능장애, 황달 등이 있다.
한약제로는 반하사심탕, 정전가미이진탕 등의 치료제가 유효하다.
예후
약을 복용하면 증상이 경감되었다가 중지하면 재발한다. 생각보다 긴 시간 증상이 지속될 수 있다. 내과에서 처방을 받는 경우 기본적으로 2개월~6개월 처방을 받게 되며, 약을 복용하면 개선되었다가 약을 안 먹으면 재발하는 것을 반복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대개 만성적인 경과를 밟게 된다.
식도의 상피가 원주상피로 변하는 바렛식도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식도암의 발병률이 높아지므로, 정기적은 경과관찰이 필요하다.
생활습관
위산분비를 항진시키는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다.
식사 후에 바로 눕거나 쪼그려 앉지 않는다.
잠자기 직전에 음식물을 먹지 않는다.
복압을 높이는 동작을 삼간다. (벨트를 꽉 조이지 않기)
수분이 많고 삼키기 쉬운 음식을 선택하여 충분히 씹은 후 삼킨다.
적절한 운동으로 비만을 예방한다.
취침 시에는 상반신을 살짝 높게 한다.
'Anyt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 앱 헤드스페이스를 탄생시킨 퍼디컴과 피어슨 (1) | 2023.03.15 |
---|---|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명상법 - 헤드스페이스 (0) | 2023.03.15 |
SES, the iconic K-pop group in late 90's (0) | 2023.01.28 |
담즙의 작용과 담낭수축의 조절기전 (0) | 2023.01.18 |
소화기에 작용하는 자율신경시스템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