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ything

소화기에 작용하는 자율신경시스템

반응형

소화관의 운동

소화관의 운동은 소화관 평활근에 의해 이루어진다. 소화관벽의 평활근 조직은 내층이 윤주근, 외층이 종주근으로 각기 다른 근육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화관 평활근은 교감신경, 부교감신경의 자율신경계 및 소화관벽 고유의 벽재신경계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소화관의 기본 운동은 연동운동, 분정운동, 진자운동 등이다.

 

Stomach

 

소화관 평활근

윤주근

점막하 신경총(Meissner 신경총)과 근층간신경총(Auerbach 신경총)의 사이에 있는 평활근층으로, 소화관의 단축방향에 윤상으로 주행하는 근육층이다. 

윤주근이 수축하면 소화관이 가늘어진다.

 

종주근

최외층을 구성하는 평활근층으로, 장축장향으로 주행하는 근육층이다.

종주근이 수축하면 소화관이 짧아진다.

 

 

 

소화관 운동

연동운동

윤주근과 종주근이 함께 수축해 생긴 수축륜이 입 쪽에서 항문 쪽으로 전파해 나가는 것에 의해 소화관의 내용물을 항문 측으로 짜내듯이 보낸다. (정연동)

회장 종말부에서는 정연동과는 반대로 항문쪽에서 입 쪽으로 연동이 전파한다. (역연동)

연동운동은 주로 Auerbach 신경총에 의해서 조절된다.

 

분절운동

윤주근층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축해 수축륜이 생긴 소화관은 몇 개의 분절로 나뉜다. 이 분절에 다시 수축륜이 생겨 새로운 분절이 생긴다.

소화관 내용물은 수축륜의 양측에서 눌려서 수축륜이 소실하는 점으로 돌아오므로 내용물은 섞이지만 이송은 일어나지 않는다.

 

진자운동

종주근층이 수축과 이완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일어나는 운동이다.

소화관이 장축을 따라 신축하므로 내용물은 입쪽과 항문 쪽 사이를 진자처럼 왕복 운동한다.

내용물은 섞이지만 이송되지 않는다.

 

 

 

 

외래신경

교감신경계

소화관을 지배하는 교감신경 절전뉴런은 Thorax 6번 ~ 11번 높이의 척수에서 시작되어, 복강신경절과 상하장간막신경절에서 절 후뉴런과 시냅스를 형성하며 절후섬유가 소화관에 이른다.

 

교감신경 절후섬유에서는 noradrenalin이 방출된다. 노르아드레날린은 소화관에 대해서는 억제작용을 보인다. 즉, 평활근 이완, 괄약근 수축 작용을 한다.

 

부교감신경계

소화관, 간, 췌장 등 복강내 기관은 미주신경에 의해 지배된다. 미주신경은 제10번 뇌신경이다.

미주신경을 통해 절전섬유는 소화관 근처, 혹은 소화관벽 내에 있는 신경절에서 절후신경과 시냅스를 형성하고 절후신경이 소화관을 지배한다.

 

부교감신경 절후섬유에서는 acetylcolin이 방출된다. 콜린작동성. 아세틸콜린은 소화관에 대해 촉진작용이 있다. 즉, 평활근 수축, 괄약근 이완, 분비 촉진의 작용을 한다.

 

소화관이나 췌장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이중지배를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의 원심성섬유에 의한 동일 효과기에 대한 작용은 길항하고 있다.

 

소화관 운동이나 분비 기능은 교감신경에 의해서 억제되며 부교감신경에 의해서 촉진된다.

 

벽재신경

Auerbach 신경총 (근층간신경총)

윤주근과 종주근 사이에 존재하는 벽내신경총으로, 외래신경도 분포하고 있다.

인접하는 근육과의 협조운동을 담당하여 장관의 연동운동을 조절한다.

 

Meissner 신경총 (점막하신경총)

점막하에 존재하는 벽내신경총으로, 외래신경도 분포하고 있다. 점막근판의 운동이나 선분비에 관여하고 있다.

Auerbach 신경총과 Meissner 신경총 사이에도 신경연락이 있어 상호적으로 활동을 조절한다.

 

소화관 평활근의 수축, 이완이나 샘분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의 이중지배를 받고 있다. 소화관 평활근의 수축은 이 두 신경계의 길항지배에 의해 조절되고 있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소화관 외부에 절전 또는 절후섬유를 두기 때문에 외래신경이라고도 불린다.

 

또,  소화관 운동과 샘분비는 장내신경총에 의해서도 지배된다. 종주근과 윤주근의 근육층 사이에 Auerbach 신경총, 윤주근과 점막근판 사이에 Meissner 신경총이 있다. 이 신경총들은 절후섬유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서 벽재신경이라 불린다.

Auerbach 신경총은 주로 장관의 연동운동을 조절하고 Meissner 신경총은 주로 샘분비에 관여한다.

양 신경총 사이, 그리고 신경총과 자율신경 사이에는 신경연락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