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즙의 분비와 농축
담즙은 간의 간세포에서 분비된다. 간에서의 분비는 십이지장 점막으로부터 방출되는 세크레티에 의해 촉진된다.
음식을 섭취할 때를 제외하면 Oddi괄약근이 수축하고 있으므로 간에서 분비된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어 농축된다.
쓸개점막은 전해질과 물을 흡수해 담즙으로 농축한다. 담낭점막 상피세포의 관강측막에서 기저측막으로 전해질 능동수송과 이것에 수반하는 물의 이동에 의한다.
담즙의 작용
담즙에는 담즙산, 콜레스테롤, 레시틴, 담즙색소, 세포외액과 유사한 농도의 전해질, 물이 포함되어 있다.
담즙산은 담즙 내 유기물질의 약 50%를 차지한다. 계면활성작용을 가지며 수중의 지방입자에 작용해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지방입자를 유화한다. 유화가 되면 지방입자의 표면적이 커지고, 췌장에서 분비된 lipase가 작용하기가 쉬워진다.
콜레스테롤이나 지방분해에 의해 생긴 지방산, 모도글리세라이드, 인지질과 함께 미셀을 형성하는데, 이들을 소장점막으로 운반된다.
장관에 분비된 담즙산의 대부분은 회장에서 흡수되어 문맥을 거쳐 간으로 돌아온다. 이것을 장간순환이라고 한다.
담즙은 노폐물의 배설경로로서 중요하다. 특히 헤모글로빈의 최종분해산물인 빌리루빈과 과다한 콜레스테롤이 담즙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어 대변으로서 체외로 배출된다.
또한 신장에서 여과되지 않는 중금속과 지용성 유해물질도 담즙 내에 배출된다.
담낭수축과 십이지장으로의 방출
음식이 십이지장에 이르면 음식 중의 지방에 의해 십이지장 점막세포에서 콜레스토키닌(CCK)이 방출된다.
CCK는 담낭의 율동적 수축을 일으켜 담낭에서 담증을 배출한다. 또한 Oddi괄약근을 이완시키므로 담낭에서 배출된 담즙은 십이지장으로 방출된다.
담석
담즙성분과 함께 담도 내에 형성된 결석을 총칭하여 담석이라고 한다. 위치에 따라 담낭결석, 총담관결석, 간내결석으로 나눌 수 있다. 담낭결석이 담낭 경부에 생기면, 우측 늑골연에서 심와부에 걸쳐 산통발작이 생긴다.
결석의 성분에 따라서는 콜레스테롤 담석, 색소 담석 등으로 분류한다.
지방식 후의 담석 통증
지방을 많이 포함한 음식을 섭취하면 담즙을 분비하기 위해서 담낭이 수축한다. 담낭 내에 있는 담석이 담낭의 출구부근으로 이동하여 담낭의 출구를 막는 상황이 되면 격렬한 통증 발작이 발생한다.
췌외분비계의 구조
췌장 실질에는 피막에서 성장한 소엽간 결합조직에 의해 소엽이 나누어진다. 소엽은 다수의 선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선방에는 선방세포가 모여 있다. 선방세포의 선강측 세포질은 효소원과립을 가지고 있다. 효소원과립은 amylase, lipase, protease의 전구물질 또는 활성형으로 소화효소로서 관광에 분비된다.
선방에서 도관이 늘어져 있다. 선방에 이어진 부위를 개재부도관이라고 하며, 이것이 집합해 소엽내도관, 소엽간도관을 거쳐 한층 더 굵은 췌관으로 이행한다.
췌관은 총담관으로서 십이지장 유두부에 개구하고 있다.
소엽의 중심부에는 Langerhas 섬이 있는데, 이는 내분비선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췌액과 그 분비기전
췌액은 선방에서 분비되지만 선방세포에서는 소화효소가, 도관세포에서는 주로 전해질액이 분비된다.
췌액의 주된 전해질은 HCO3-, Cl-이며 알칼리성이다. 따라서 위에서 온 산성의 죽상액을 중화하여, 소장 내 pH농도를 알칼리성으로 바꾼다. 소화효소가 소장 내에서 작용하기 위한 최적의 pH로 조절한다.
전해질액의 분비
선방세포는 혈장과 거의 같은 농도의 NaCl 용액을 분비한다.
도관세포는 혈장과 거의 같은 농도의 NaHCO3 용액을 분비한다.
전해질액 분비의 주체는 도관세포이다.
소화효소의 분비
소화효소는 선방세포에서 개구분비된다.
아세틸콜린이나 콜레시스토키닌은 IP3(이노시톨 1,4,5 삼인산)의 생성을 거쳐 세포 내 Ca2+ 농도를 상승시켜 소화효소를 분비한다.
췌액 중의 소화효소
췌액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탄수화물 분해효소는 다당류를 이당류 및 올리고당으로 분해한다. (Amylase)
단백질 분해효소는 췌액 중에서는 전구체(불활성형)로서 분비되어 십이지장 내에서 엔테로키나제에 의해 활성형으로 변환된다. (Trypsin, Chymotrypsin 등)
지방질 분해효소에 의한 지방질 분해에는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산에 의한 지방질 유화와 미셀(micelle) 형성이 필요하다.
'Anyt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 앱 헤드스페이스를 탄생시킨 퍼디컴과 피어슨 (1) | 2023.03.15 |
---|---|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명상법 - 헤드스페이스 (0) | 2023.03.15 |
SES, the iconic K-pop group in late 90's (0) | 2023.01.28 |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과 원인 (1) | 2023.01.26 |
소화기에 작용하는 자율신경시스템 (0) | 2023.01.17 |